<싣는 순서>
(1) 덕윤리
(2) 모금가와 윤리
(3) 유덕한 모금가

비영리조직에서의 모금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강조(김영종, 2001; 강철희 등, 2009; 고경환, 2015)되면서 신뢰와 투명성 있는 모금 활동도 사회적으로 점점 대두되고 있다. 모금 활동은 그 속성상 윤리성이 동반(윤민화‧이민영, 2015)되고 있으며 이러한 윤리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면 기부자의 신뢰를 잃어 모금활동에 영향(신재은 외, 2012)을 주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기부문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비영리조직과 모금 활동의 어떠한 특성이 ‘개인의 덕에 초점을 맞춘 행위자 중심의 윤리이자, 공동체 구성원의 삶을 동시에 강조’하는 덕윤리와 맞닿아 있는지 확인해 보자.

이미지 출처: pixabay.com

모금 활동의 특징

비영리조직의 특성

필란트로피(philanthropy)는 세상을 보다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도덕적 상상력을 구체화(Payton and Moody, 2017)시키는 것이다. 비영리조직은 이러한 필란트로피를 실현시키는 곳, 즉 공익을 위한 자발적 행동을 조직화한 것이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 도덕적 신념, 도덕적 실천이 있어야 한다.

소규모 비영리조직 혹은 1인 겸직 모금활동을 하는 조직의 특성

모금 전담 부서는커녕 모금 전담자 없이 1인이 모금을 다른 업무와 겸하는 경우나 소규모조직의 경우 모금윤리규정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모금의 윤리적 풍토나 슈퍼비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품성이나 상식에 근거한 결정에 의존(Rosen, 2005)할 수밖에 없다.

모금 활동의 특징

모금 활동은 비영리조직과 동일한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찾아내고 이들과 관계를 통해 가치를 확산하는 과정(Grace, 2000)이다. 따라서 모금은 기부자와의 관계 유지와 증진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원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김운호, 2004)하다. 즉 모금은 관계의 부산물이라고 정의(Kelly, 1998)될 정도로 가치와 관계가 소통의 중심이 된다.

모금 활동 과정*

단계 과정 과정 내용
1단계 조직 미션‧비전 조직의 미션과 비전은 조직의 존재 가치와 정체성이자 모금 활동의 출발점이다.
2단계 목적사업 조직의 미션‧비전이 기반이 된 정관상 목적사업은 모금의 명분이 되며, 지역사회 욕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3단계 기부자 찾기 이해관계자를 기반으로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사업에 공감하는 잠재기부자를 확인하고 이를 목록으로 정리한다.
4단계 모금 방법 확인된 잠재기부자에 맞는 모금방식을 구축한다. 온라인, 이벤트, 캠페인 등과 같은 참여 활동과 기부 채널을 준비한다.
5단계 요청하기 6 Rights**에 따라 요청한다.
6단계 기부자 관계예우정책 기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예우하고 신뢰를 쌓아 성장하기 위한 정책이다. 감사, 보고, 참여, 안내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다.
7단계 공적공개 및 법 준수 관계 법령에 따른 보고와 신고, 성과 기록과 평가, 기부자와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부금 사용 보고와 사업 성과 보고 등이다.

* 모금 활동 과정 : 국내외 단행본으로 활동과정을 정리하여 품질개선기법인 6시그마 방법론과 결합시킨 모금활동과정(정현경, 2013)과 모금활동의 순환적 측면과 조직과 이해관계자들의 역할과 책무를 중심으로 모금활동을 설명하고 있는 ‘The Process of Development’(비케이안, 2012)를 통합하여 정리
** 6 Rights – Right person, Right Prospect, Right Project, Right Time, Right Way, Right Amount.

기부자 관점에서의 윤리성

기부자도 장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 형성을 목표로 모금하는 것을 윤리적이라고 판단(Tine De Bock & Tine Faseur, 2017)한다.

기부자 관점에서의 모금 윤리*

핵심 가치 윤리 기준
선택의 자유 기부자의 선택의 자유와 결정 존중
존엄성 기부자와 수혜자의 존엄이 훼손되지 않는 것
진정성 정직, 성실, 신뢰 (과장하거나 연민, 동정 유발 지양)
장기적 관계 기부자와의 상호작용이 기반이 되어 장기적 관계 형성
목적의식 명확하고 효율적인 목적과 목표
균형 기부자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환경 구축

* Ethical fundraising from the donor’s viewpoint : An exploratory study(Tine De Bock & Tine Faseur, 2017) 11p-13p 재정리.

모금가의 직업적 정체성과 전문성 부족

모금 인력 규모와 모금성과 간 정비례 관계는 많은 연구에서 검증(김미숙‧김은정, 2005 외 다수)되어 있으나, 전문가로서 모금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형성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모금에 필요한 역량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담당자가 모금 활동의 전반을 책임질 수밖에 없고 조직 차원의 합의된 모금 규정이나 기준마저 없을 경우 담당자가 갖고 있는 상식에 근거한 결정을 하게 된다.

이미지 출처: flaticon.com

 우리는 왜 유덕한 모금가에 주목하는가(3): 유덕한 모금가로 이어집니다

참고문헌

  • 강철희・변은지・배민경・조주희. 2009.『서울시 사회복지시설․기관 기부자의 기부행동 및 관리현황에 대한 연구:기부자 충성도 제고방안을 위한 분석』.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 고경환. 2015. “민간자원 활성화를 위한 민간모금동원 모형개발과 배분영역 탐색”.『보건사회연구』. 35(4): 513-538.
  • 김미숙‧김은정. 2005.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연구: 후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5): 5-40.
  • 김영종. 2001. “민간 사회복지조직의 재원과 서비스 전달”.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1-121.
  • 김운호. 2004. “비영리단체 모금의 성공요인과 기준에 관한 소고”. 『한국비영리연구』. 3(2): 41-71.
  • 비케이안. 2010. 『비영리단체 모금전략』.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 신재은‧박지영‧허지은. 2012. 『사회복지모금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보고서』. 경기복지재단.
  • 윤민화‧이민영. 2015.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의 윤리적 풍토와 대처에 관한 연구』.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 정현경. 2013. “6시그마를 적용한 비영리조직의 모금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Grace, Kay Sprinkel. 2000. 『비영리기관의 모금』. 정무성(역). 서울: 나눔의 집. 원전: Beyond Fundraising: Wiley. 1997.
  • Kelly, K. S. 1998. Effective Fund-raising Management. New Jersey: Lawrence Erbaum Associates, New Jersey.
  • Payton, R. M., Moody, M. P. 2017.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 이형진, 김영수 (역). 아르케. 원제: Understanding Philanthropy: Its Meaning and Mission.
  • Rosen, M. J. 2005. “Doing well by doing right: a fundraiser’s guide to ethical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10(3):175-181.
  • Tine De Bock, Tine Faseur. 2017. “Ethical fundraising from the donor’s viewpoint : An exploratory study”. European Research Network On Philanthropy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Copenhagen.

정현경 | 성공회대학교 사회적기업센터 연구교수

비영리컨설팅 웰펌 수석연구원, 한국공익법인협회 전문위원, 한국모금가협회 전문위원이다. 아름다운재단 물품기부 마스터를 맡았다. 『모금가노트』, 『사회복지와 모금』, 『스크루지의 마음도 여는 한국의 모금가들』 등 다수의 저서와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는 <연대공작단>과 <연대북스>를 통해 동료들과 현장의 고민을 풀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