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나눔의 폭과 질

         - 한국인의 나눔 참여 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부의 규모 확대 및
            정기적 행동의 증가를 고려할 때 나눔의 질 역시 제고되었음

 

     2. 기부와 자원봉사

         - 기부와 자원봉사의 관계는 보완적일 수도 있으나 선택적 차원에서도 가능한데
            한국사회에서는 기부의 용이성으로 인해 순수 자선기부가 일반 자원봉사보다 보편적임
         - 참여의 폭에서는 경조사가 가장 보편적이고 그 다음 순수 자선기부와 종교적 기부임
         - 규모의 측면에서 종교적 기부, 경조사, 순수 자선기부의 순서임
         - 순수 기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한국인의 상대적 기부수준과 기부의 정기성은 꾸준히
           상승되고 있음

 

     3. 동정심에 기반한 공공부조형 나눔의 우세

         - 기부의 동기로 동정심이 보다 강하게 작동하는 경향이 있고 나눔의 대상 선택과 관련해서도
           역시 공공부조 대상자를 중심으로 나눔 대상이 선택되는 양상이 지속됨

 

     4. 유산기부 또는 기부연금에 대한 관심

         - 유산기부 의향이나 희망비율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기부연금에 대한 낮은 인식 등은 경제적
            상황이 반영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기부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노력이 필요함
         - 가장 큰 어려움은 가족의 반대임

 

     5. 한국사회 나눔의 특성과 과제

         - 나눔 행위가 주로 방송 및 언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동정심에 기반한다는 점을 볼 때,
           이러한 행위를 좀더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서는 공동모금회나 아름다운재단과 같은 대규모 모금단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개별 비영리조직 차원에서도 다양하고 구체적인 전략수립이 필요함
         - 나눔이 주요한 가치와 규범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도화된 나눔 교육 및 나눔을
           위한 체계화된 인프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본문

     1. Introduction

         1) 조사설계
         2) 조사내용
         3) 요약 : 순수 자원봉사와 기부활동의 경향

 

     2. 자원봉사

         1) 자원봉사 참여여부
         2) 자원봉사 활동처
         3) 자원봉사 시간
         4) 정기적 자원봉사 경험
         5) 정기적 자원봉사 참여빈도
         6) 자원봉사 활동처 인지경로
         7) 자원봉사 활동방법

 

     3. 기부

         1) 기부참여 여부
         2) 기부처
         3) 기부금액
         4) 기부금액의 변화추세
         5) 정기기부 참여여부
         6) 정기적 기부 참여빈도
         7) 기부처 인지경로
         8) 기부방법
         9) 기부의 내적 동기
         10) 기부의 외적요인
         11) 기부액 및 기부처 확대계획
         12)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

 

     4. 정기적 기부 중단 및 변경 경험

         1) 단체/조직 기부자
         2) 단체/조직에 대한 인식
         3) 정기적 기부 지속여부
         4) 정기적 기부 지속자의 단체/조직에 대한 인식
         5) 정기적 기부 지속자의 특성

 

     5. 기부

         1) 기부의향
         2) 기부 결정시 고려사항
         3) 단체/시설/기관 기부시 고려사항
         4) 기부금품 사용 희망분야
         5) 기부금품 사용 희망대상
         6) 기부금품 사용 희망단위

 

     6. 유산기부

         1) 의향
         2) 유산기부 희망비율
         3) 유산기부 희망형태
         4) 유산기부 장애요인
         5) 기부연금 참여의향

 

     7. 나눔교육

         1) 나눔교육에 대한 인식
         2) 기부시 인터넷 활용경험
         3) 기부시 인터넷 활용도
         4)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
         5) 한국사회의 구성기관에 대한 신뢰도

 

     8.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