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경제적 영향의 여파로 나눔의 저변이 다소 축소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전반적으로 나눔 참여에의 저변이 다소 약화되는 경향성은 있으나, 참여강도의 부분
         (정기성 및 금액과 시간)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3. 자선적 나눔에서는 저변 축소의 경향성이 있으나 종교적 나눔과 상호부조 등의
         영역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는 않음

 

     4. 기빙코리아의 조사결과와 사회조사의 결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두 가지 이유와 관련된 것으로 사료됨. 첫째는 조사의 속성과 큰 관련이 있음.
         둘째는 조사규모의 차이(조사대상 인원 및 연령에 따른 포괄성)와도 관련이 있음

 

     5. 기본적으로 나눔 행동과 관련해서 결혼(+), 나이(+), 교육(+), 가구소득(+)의 
         영향력은 일관적인 것으로 나타남

 

     6.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사회는 나눔 사회로의 진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향후의 긍정적인 변화 가능성은 경제상황 및 Major  Giving 등에
          의해서 결정될 것으로 예측됨

본문

Ⅰ. 2013 Giving Index

 

    1. 자원봉사
        1) 자원봉사 참여여부
        2) 자원봉사 활동처
        3) 자원봉사 시간
        4) 정기적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빈도
        5) 자원봉사 활동처 인지경로
        6) 자원봉사 활동방법

 

    2. 기부
        1) 기부참여 여부
        2) 기부참여 여부 변화 추이
        3) 기부처
        4) 기부금액
        5) 정기 기부 참여여부 및 빈도
        6) 기부처 인지 경로
        7) 기부 방법
        8) 기부의 내적 동기
        9) 기부의 외적 동기
        10) 기부액 및 기부처 확대 계획
        11)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

 

    3. 종교적 기부
        1) 종교적 기부 경험 및 소득공제 여부
        2) 종교적 기부(개신교 및 천주교) 금액
        3) 종교적 기부(불교) 금액
        4) 정기적 종교기부 참여 및 빈도
        5) 종교적 기부의 원하는 사용처

 

    4. 기부의향 및 계획
        1) 기부의향 변화추이
        2) 기부결정 시 고려사항
        3) 단체/시설/기관 기부시 고려사항 
        4) 기부금품 사용 희망분야
        5) 기부금품 사용 희망대상

 

    5. 나눔교육과 사회자본
        1) 나눔교육 경험
        2) 사회적 자본(신뢰)
        3) 사회적 자본(호혜성)
        4) 사회적 자본(규범)

 

Ⅱ. 나눔통계의 비교분석(Giving Index 2013 vs. 사회조사 2013)

 

Ⅲ.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