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부환경지수는 인디애나대학 릴리 패밀리 스쿨 오브 필란트로피(이하 IU)에서 격년으로 기부환경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는 한국 파트너로 참여하여 한국의 기부 환경 부분을 맡아 작성하였습니다. 올해 발간된 2022년 보고서는 91개국이 참여하여 기부단체의 1) 운영 용이성 2) 세제 혜택 3) 국가간 기부 4)...
ESG 시대 속에서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지표 달성하려면 콜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콜렉티브 임팩트란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 등 다양한 분야의 조직이 협력해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적 해결 방법이다. 그렇다면, 국제 시민사회에서는 어떤 콜렉티브 임팩트 사례가 있고, 그 속에서 비영리 섹터는 어떠한 역할을 했을까? 이에 본 보고서는 지속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 국제 사례를 참고하여 비영리 섹터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콜렉티브 임팩트의 주의점을 살펴보고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더 많은 우수 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ESG시대에 걸맞는 우리나라 비영리 섹터의 역할 또한 제시하는 데 본 보고서의 목적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