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이미 안 사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안 사고 싶다

나는 ‘패션’에 대해서는 관심도 감각도 없다. 걸쳐서 편하면 입는 사람이다. 그래서 이미 옷을 안 사고 있다. 그런데도 이 책이 눈에 들어왔다. 과잉 소비의 문제는 옷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님을 알기 때문이다.

수요가 있으니 공급이 있는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자본주의에서 자본은 그 자신의 증식을 위해 수요를 부추기기도 한다. 이렇게 부추겨진 과잉 소비는 과잉 생산으로 인한 자원 낭비와 착취‧오염‧학대‧고갈 같은 문제를 낳는다. 한편으론 마약이나 도박처럼 인간의 뇌를 중독에 빠뜨려 소비를 더 많이 갈구하게 만든다. 현대 선진국의 풍요 혹은 과잉 소비의 전형적인 모습이 이렇다.

사람으로 태어나 소비자로 자랐다. (168쪽)

누구나 어렴풋이라도 알고 있는 과잉 소비의 문제점을 이 책은 ‘옷’의 소비를 통해 설명한다. 옷차림과 환경 모두에 관심이 많은 저자가 꼼꼼하게 조사하여 모은 자료들을 친근한 글을 읽어가다 보면 과잉 소비에 대해 기존에 우리가 느끼고 있던 문제 인식이 보다 깊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됐거나 새삼 다시 생각해 본 문제들도 있었다.

첫째, 옷도 ‘플라스틱’이라는 사실. 전부는 아니지만, 싼 값에 대량으로 팔리는 옷들의 소재는 대부분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스터이며, 그 부작용은 언론이나 환경 캠페인에서 보아 오던 플라스틱의 부작용과 다르지 않다. 이미 알다시피 플라스틱은 생산 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대량으로 소비된 후 버려지면서 미세플라스틱 같은 큰 문제를 일으킨다.

둘째, 정말로 제대로 된 옷, 제대로 만든 물건이 설 자리를 잃고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사실. 싼 것을 빨리빨리 쓰고 버리는 소비 습관이 자리 잡으면 아무도 꼼꼼히 만든 물건을 적당한 값을 주고 사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중에 가서 제대로 만든 물건을 찾아 봐야 없게 될 것이다. 값비싼 브랜드는 여전히 존재하겠지만, 진짜 명품은 사라진다.

이미지 출처: flaticon.com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쓰거나 아예 쓰지 않으려고 의식해본 사람. 종이컵을 쓰지 않으려고 노력해본 사람. 고장 나거나 해진 물건이나 옷을 바로 버리기보다 고쳐서 쓰거나 입으려고 한 번쯤 시도해본 사람. 소유물의 지배에서 벗어나 나답게 살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 사람. 이런 사람이라면 이 책이 자신의 노력에 보다 깊고 또렷한 생각을 선사할 것이다. 그럴수록 무엇을 실천해야 할지도 또렷해지고, 그런 우리가 하나둘 늘어나다 보면 과잉 소비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잡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