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한편으로는 다문화 가정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국내 상황에서 사회적인 다양성, 다양한 계층 간의 양방향적 포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며 이를 반영한 다양한 공익 캠페인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메시지를 담은 디자인상에 재현된 수혜자의 모습은, 기부자 시점에서 강한 인지와 기부 효과를 위해 사회적 비참과 이질감을 강조하는 기법이 주로 사용돼, 결과적으로 ‘가난 포르노’ 등 기부자에게 반감을 주는 사회적인 이슈를 생산하고 있고, 수혜자의 인격적인 감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은 수혜자 관점에서의 인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뿐 아니라, 캠페인이 목표로 하는 사회적 포용을 위해 필요한 동질감과 친밀감 형성 관련 이론에 반하는 성향이 있다. 또한 국내 수혜자에 대한 연구는 기부의 효율성과 연계된 연구 외에는 없다시피 한 실정이고, 수혜자 관점의 논문이 없어 이들의 인권의 반영에 대한 환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관련된 캠페인과 디자인을 기획하는 실무자 입장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질성과 친밀성 형성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기존의 국내 연구(1990년-2024년)에서 수혜자 관점의 캠페인 현황 논문 조사를 진행한 뒤 연구 현황에 대한 비판 지점을 짚었다. 이어 국내 대표적인 다문화 지원 국가 기관과 주요 민간 지원 기관의 캠페인 홍보물, 주요 공모전의 당선작 등을 조사하여 동질성과 친밀성 이론에 반하는 관점에서 제작된 재현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해외 우수 디자인 사례를 들어 제시했다.
조사 결과, 국내 캠페인의 주요 문제 유형은 ‘1) 시혜적 관점에서의 포용: 수혜자에 대한 인격적 인식의 부족, 2) 긍정, 부정의 이중 언어의 사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혼란, 3) 긍정적인 심리 기제보다 부정적인 심리 기제를 자극’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응하는 디자인 전략 방안은 1) 수혜자에 대한 수평적인 시선 및 인격적인 위엄의 존중, 2) ‘다름’이 아닌 ‘같음’을 통한 동질성과 친밀감의 확대, 3) 긍정적인 감정 기제를 활용한 캠페인으로 제시했다. 이와 같은 방법론 제시에 이어 별도로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웹 설문을 진행해 사회심리학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수혜자에 대한 지원과 포용을 기반으로 한 캠페인에서 이들의 관점이 배제되는 것은 디자인이 철저히 상업적인 목적을 바탕으로 소비자향으로 발전해 온 이유가 크고, 공익 캠페인 디자인에 있어서도 기부 효과와 주목도에 대한 관점이 높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 MZ 세대들을 중심으로 기부 동기로 동정심이 아닌 사회적 책임감 요인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고, 인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수혜자를 재현하는 이미지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일차적으로 수혜자의 인권에 대한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또한 이들의 재현된 이미지가 장기간 사회에 노출되며 이들에 대한 각인 효과를 통해 동질성과 친밀성 형성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캠페인이 목표로 하는 다양성 포용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여기에 사회적 기부 동기가 변화하고 있어, 기부 효과적인 측면에서도 기부자의 재현에 있어 인격적인 고려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수혜자의 인격과 존엄을 반영하면서도 사회 공동체의 통합과 포용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감성 디자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 본문
-
요약
1. 연구 배경 및 목표
2. 연구의 필요성
3. 분석 방향 및 연구 방법
4. 동질성과 친밀감 형성 요인
5. 국내 사회적 캠페인의 수혜자 재현 문제점 분석
1) 시혜적 관점에서의 포용: 수혜자에 대한 인격적 인식의 부족
2) 긍정, 부정의 이중 언어의 사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혼란
3) 긍정적인 심리 기제보다 부정적인 심리 기제를 자극6. 시사점 도출 및 해외 사례 분석
1) 수혜자에 대한 수평적인 시선, 인격적인 위엄의 존중
2) ‘다름’이 아닌 ‘같음’을 통한 동질성과 친밀감의 확대
3) 긍정적인 감정 기제를 활용한 캠페인7. 방법론 검증을 위한 양적 연구
1) 연구 방법
(1) 응답 표본
(2) 절차 및 설계
(3) 설문 문항
2) 연구 결과
(1) 정서 평정(행복, 슬픔, 놀람, 역겨움, 두려움, 화남)
(2) 심리적 거리(유사성, 수용성, 심리적 거리, IOS)
(3) 캠페인 효과(견해, 태도, 의사결정의 변화)
(4) 캠페인 기부 의사8.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