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문화총서 11권 ‘이타주의자의 시대’에 많이 인용되었던 R.L.Payton과 M.P. Moody의 “Understanding Philanthropy: Its Meaning & Mission”이 지난 8월 한국어 제목”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로 번역되어 아르케출판사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총서 11권인 ‘이타주의자의 시대’의 선배(?)격인 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저자인 테오 슈이츠가 앞머리에 ‘이 책을 필란트로피학의 창시자인 밥 페이턴에게 이 책을 바친다’라고 헌정의 글을 썼습니다.
슈이츠는 페이턴의 필란트로피의 정의를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책의 전반에 ‘페이턴과 무디에 따르면’으로 인용한 부분이 많습니다.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는 그 인용의 출처가 되는 책입니다. 슈이츠는 유럽의 역사와 함께 ‘복지국가에서 필란트로피’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와 사회제도로의 역할을 잘 정리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는다면 페이턴의 책은 기본 개념과 문제의식이 충실히 담겨 있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고전으로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모금과 기부에 관련된 비영리 기관, 관련 학계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 한 번은 읽어야 할 책이라고 추천하고 싶습니다.
이 책의 번역과 감수는 번역서를 출간하는 담당자 입장에서 매우 감탄할만한 수준입니다. 기부문화총서 1-4권을 출간한 아르케의 이형진 박사님께서 이 분야의 전문가답게 오역을 피하면서도 읽기 쉬운 번역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해내신 것으로 보입니다. 비교적 낯선 분야인 필란트로피에 대해 어학 실력이 훌륭한 번역가라도 서너군데는 심각한 오역을 하는 현실에서 매우 아름다운 결과물을 만나 반갑습니다.
이 책을 꼭 읽어야 하는 이유는 첫째, 필란트로피의 기본 개념과 관련 범주를 조망할 수 있는 시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필란트로피 관련 지식이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집중되어 있다면 ‘왜 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이 아닌 철학의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둘째,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고민과 이슈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권 100대 과제에 포함된 ‘시민사회발전 기본법’, ‘고향세법’ 등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에 대한 관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돈’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 사회에서 결사체가 갖는 중요성을 중심으로 보아야 하고, 자유로운 결사체야말로 민주주의의 토대가 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란트로피의 성과요구나 단체 대표의 연봉 등 미국에서 자주 문제시되는 이슈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에 대한 관점도 얻을 수 있습니다.
책 속 밑줄 친 부분
|
현재 기부문화총서 12권으로 출간하게 될 책 ‘기빙웰-잘 주고 잘 받는 나눔의 윤리’는 이런 기본 개념들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여러 전공의 학자들이 전세계적인 필란트로피에 관한 제도적, 윤리적 이슈를 넓고 깊게 다룬 통섭적인 책입니다. 향후 ‘이타주의자의 시대’와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에 이어서 이 세 권의 책이 필란트로피의 개념과 철학, 윤리에 대한 이해에 대해 고전이자 필독서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매우 흥미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