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lsi.mckinsey.com/Home/What_is_Social_Impact_Assessment/The_History_of_Social_Impact_Assessment.aspx

이것은 미국 mckinsey 사이트의 Social Sector Office 내 Learning for Social Impact 를 번역한 것입니다.

소셜임팩트에 대한 자료들을 개별적으로 보아오신 분들께 미국 내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공유합니다.

The history of social impact assessment 

Social impact assessment는 정부가 공공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진 평가들에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부터 벤처 필란트로피스트, 재단, 유능한 비영리단체와 사회투자가들이 각종 도구, 프레임워크와 사례들을 실험하면서 이 분야에 들어왔다.

Donald Campbell가 “사회적인 일에서 실험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Factors Relevant to the Validity of Experiments in Social Settings)을 발간함. 이 책은 내/외부 타당성, 실험디자인, 유사실험 디자인과 같이 현재 사회과학방법론에 필수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을 소개하고 있음.

 

Johnson내각의 “빈곤과의 전쟁”의 일환으로 Office of Economic Opportunity (OEO)가 만들어짐. OEO내의 Research, Programming, Planning, & Evaluation (RPP&E)부서에 “개별적으로 훈련된 직원들이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핵심요소”를 평가하라는 임무가 주어짐. RPP&E는 표준세팅을 장려하고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함. 그러나 1969년 Nixon내각에 의해 폐쇄됨.

 

OEO가 뉴저지에서 negative income tax의 현실적 가능성을 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함. 미국 첫 대규모 사회과학 실험. 평가의 기본방법이 되는 randomized control trial을 사용함

 

The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NEPA)가 통과되고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CEQ)이 설립되면서 모든 연방기관에 “human environment”에 대한 입법효과를 측정이 요구됨. 환경분야에서 (성과)측정을 도입하는 중요한 계기이나 용어의 모호함이라는 한계를 가짐.

 

The Council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ASA)이 “사회학적 기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 진술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함

내무부의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EIS) 준비과정에서 “social impact assessment”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됨.

 

사회정책과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포드재단과 연방기관들이 모여 The Manpower Demonstration Research Corp (MDRC)을 설립함. 몇 년 후 국가 고용 프로그램의 randomized control trial을 시행함. 사회조사에 무작위 추출법의 사용과 사회 프로그램의 연방 펀딩에 평가 요소의 도입을 촉진함.

 

평가의 사회적 요소를 명백하게 정의하고 “환경영향진술을 준비할 때, 경제적, 혹은 사회적, 그리고 자연적이거나 물리적 환경 영향이 내적으로 연관성이 있을때, 환경영향진술은 human environment에 대한 모든 영향들을 거론하여야 한다”를 의무화 한 세밀한 가이드라인이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에 의해 만들어짐

 

모든 미연방 기구들이 환경적, 사회적 평가 절차를 만듬

World Bank가 프로젝트 평가 절차에 사회적 평가를 포함시킴

 

Private equity manager인 George Roberts가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노동과 교육 프로그램 내에 전략적 필란트로피 투자를 만들기 시작함. 초기 사회적 투자 노력은 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oundation(REDF)로 발전됨. 오늘날 REDF는 비영리들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드는 것을 돕는 벤쳐 필란트로피를 실행함.

 

공공주거에서 개인을 위한 “복지에서노동으로” 프로그램인 JobsPlus가 심층적이고 정밀한 평가를 만듬. 이는 6년 넘는 기간동안 6개 도시 5,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추적하기 위해 randomized controlled을 사용하는 방법임.

 

The Interorganizational Committee on Guidelines과 Principles for Social Impact Assessment가 연방기관들과 다른 단체들이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와 같은 법에 의해 요구되는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설립됨.

 

REDF가 최초로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분석을 발표함. 이는 사회적 가치를 돈으로 측정하는 것임. 후에 REDF는 SROI를 위한 방법론과 프레임워크 리포트를 발간함. 많은 단체들이 이 분석틀을 도입했으나 일부는 재무적 평가에 의해 다양한 인간 경험의 측면이 간과된다는 우려를 표함.

 

W.K. Kellogg Foundation이 평가 핸드북을 발간함. 평가를 위한 기획, 수행과 결과활용을 위한 틀거리를 제공함. 원래 내부용 가이드로 준비되었으나 재단은 핸드북을 공공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듬

 

Donald Campbell을 기리는 뜻의 Campbell Collaborative (“C2”)는 교육, 범죄와정의, 사회복지와 같은 사회적 활동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설립됨. 2003년에 설립된 Poverty Action Lab at MIT처럼 C2는 최고 사례 평가에 대해 논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randomized control trials의 강력한 옹호자가 됨.

 

사회변화를 위한 사업 사례들이 보고되고 새로운 평가방법을 위한 미팅들이 이어지는 것과 별개로, Aga Khan Foundation은 “세계 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투자의 양적, 질적 증대”을 주창함. 이 주창은 Keystone Accountability로 발전되어가는데 이는 평가 과정의 일부로 구성원의 목소리 사용을 주장하는 것임.

 

The Goldman Sachs Foundation과 the Rockefeller Foundation이 social impact와 Social Return on Investment 측정을 둘러싼 이슈들을 논의하기 위해 50명 이상의 펀드투자자들을 초대함. 참여자들은 “social impact측정 분야의 발전에 지대한 관심이 있다”고 하며 향후 작업을 위한 4개의 가이드 원칙을 제시함.

 

UN과 월드뱅크를 포함한 100여개의 지역/국제 개발기구를 대변하는 Network of Networks on Impact Evaluation (NONIE)이 만들어짐. NONIE는 미션문에서 방법론적 다양성을 강조하고 하나의 방법을 국제기준으로 정하는것에 대한 경고를 표현함.

 

여전히 측정에 있어 모두에게 통용되는 만능툴 접근이 여전히 진행됨. 카이로의 social impact컨퍼런스에서 분화된 의견들이 나타남. 일부는 국제통용으로서 경험적 디자인을 옹호하면서 사회적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펀딩을 위해서는 철저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믿음. 다른 측에서는 사업성과를 높이고 구성원들을 발전시킨다는 궁극적인 목적에 가장 잘 맞도록 여러 가지 방법들의 혼용하는 것이 강력한 결과를 만든다고 믿음.

The William and Flora Hewlett Foundation Environmental Program이 “갈수록 더 좋아지는 일 : 성과중심적 배분을 통한 임팩트 높은 필란트로피 로드맵”을 발간함. 이는 기획, 수행, 평가를 연결하여 논의하고 좀 더 발전된 평가 기술을 제시함. Factors Relevant to the Validity of Experiments in Social Settings의 발간 이후 50년 넘게 social impact 측정의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한 논쟁은 이어지고 있음.

 

* 함께 배우는 동료의 마음으로 번역과 용어사용의 오류를 발견하시는 분은 댓글에 남겨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