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생산되는 기부 데이터 현황
국내 기부관련 통계 데이터는 총 9개로 이 중 국세청 국세통계연보는 총 기부금액을 제공하고 있다.
가장 많이 인용되는 기부 참여율과 평균 기부 금액은 기빙코리아, 사회조사에서 보고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국조사로는 재정패널, 한국복지패널이 있다.
기부 참여율과 기부금액 이외의 기부 행동 및 태도에 관한 문항은 사회조사와 기빙코리아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9개의 기부 데이터베이스 |
||||
데이터베이스 |
제공 기관 |
조사시작 |
최근 조사 | |
전국 |
기빙코리아 |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
2001 |
2019 |
사회조사 |
통계청 |
2006 |
2019 |
|
여성가족패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6 |
2019 |
|
한국복지패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7 |
2020 |
|
재정패널 |
조세재정연구원 |
2008 |
2019 |
|
지역 |
서울서베이 |
서울시 스마트시티정책관 |
2005 |
2020 |
서울복지패널* |
서울시복지재단 |
2008 |
2010 |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
서울연구원 |
2015 |
2019 |
|
국세청 |
국세통계연보 |
국세청 |
1967 |
2020 |
Note: * 조사가 종료된 데이터셋. |
<7개 데이터 요약>
각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년도 기준 평균 기부 참여율, 평균 기부 금액, 총 기부금액, 그리고 자원봉사 참여율은 아래와 같다.
기빙코리아 |
한국복지패널 |
재정패널 |
사회조사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
서울서베이 |
국세통계연보 |
|
조사 단위 |
개인 |
가구 |
가구 |
가구 |
가구 |
가구 |
– |
조사지역 |
전국 |
전국 |
전국 |
전국 |
서울시 |
서울시 |
전국 |
표본수 |
2,011 |
4,124 |
4,816 |
18,676 |
3,000 |
20,000 |
– |
기부참여율 |
46.5% |
12.2% |
35.9% |
21.6% |
17.4% |
37.1% |
– |
평균기부금액 |
₩264,000 |
₩461,000 |
₩164,000 |
₩603,000 |
₩904,000 |
– |
– |
총기부금액 |
– |
– |
– |
– |
– |
– |
14.4조원 |
자원봉사참여율 |
32.3% |
13.7% |
– |
16.1% |
10.0% |
13.6% |
– |
<함께 보면 좋은 글>
① 한국의 기부 데이터베이스
② 국내 기부금 총액
③ 평균 기부 참여율과 기부 금액 변화
원문 보고서 보기 [기획연구 2020-3] 한국의 나눔 행동과 태도 측정 : 방법론적 고찰
<참고자료>
- 기빙코리아 2020.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blog/2020/12/21/givigkorea2020/
- 한국복지패널. 한국복지패널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연도별 기초분석보고서. https://www.koweps.re.kr:442/research/report/list.do#LINK
- 여성가족패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가족패널 1-6차 웨이브 조사자료. https://klowf.kwdi.re.kr/portal/report/reportListPage.do?bbsId=ANRPT
- 서울복지패널. 서울복지재단 (2010). 서울시 복지패널 2차 본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https://wish.welfare.seoul.kr/swflmsfront/board/boardr.do?bmno=10015&bno=1711&pno=10007&ppno=&opno=& - 재정패널. 조세재정연구원 (2021) https://www.kipf.re.kr/bbs/panel_report_DataReport.do 기초분석보고서 [표 37] 가계지출 현황 : 연간 지출
- 사회조사. 통계청 (2021)
Kosis 국가통계포털 국내통계 > 주제별통계 > 사회조사 > 사회참여 > 2009년 이후 > 현금기부인구 , 현금기부금액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
기부참여율 : 사회조사 보도자료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서울연구원 (2020)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http://data.si.re.kr > 조사데이터 >서울복지실태조사
- 서울서베이. 서울시 스마트 도시 정책 센터. (2020)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http://data.si.re.kr > 조사데이터 >서울서베이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5564/F/1/datasetView.do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기부 경험여부 및 기부형태 통계 https://data.seoul.go.kr/dataList/286/S/2/datasetView.do?tab=S# - 국세청 (2019). 국세통계연보. https://tasis.nts.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cm/index.xml 기부금총액=아래 1)+2)+3)+4)
1)법인기부금 :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8. 법인세>>8-3-6(~2012)/8-3-14(2013~) 접대비,기부금 신고현황
2)개인기부금(종합소득세):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3. (종합)소득세 >>3-2-7. 기부금 신고 현황 >> “기부금합계
3)개인기부금(기부금 세액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기부정치자금”(~2012), “기부금세액공제대상금액” (2013~)
4)개인기부금(기부금 소득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특별공제” > “기부금소득공제액”
국세청(2019) 통계연보. 에서 참고한 자료 각각의 연도가 저게 맞나요? 통계연보 실물과 대조해보고 있는데, 실물 자료에는 2020년 데이터가 있습니다만 왜 위에서 참고한 자료들의 기준 년도가 2012년, 2013년인지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3)개인기부금(기부금 세액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기부정치자금”(~2012), “기부금세액공제대상금액” (2013~) 이 부분 말씀하시는 것이지요? 2012년부터 ‘기부정치자금’이 별도 항목으로 분리 되었습니다. 따라서, 2) 항목에 3)의 기부금정치자금 2012년부터 합산해야 합니다. 그리고 2014년부터 근로자 기부금 공제 방식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변경되었답니다. 따라서 개인근로자의 경우 2013년까지는 소득공제 자료를 봐야하고, 2014년부터는 4)세액공제 자료로 합산해야 합니다. 국세청 자료에서 기부금액 총액을 한번에 볼수는 없고, 기부문화연구소에서 1)~4)의 자료를 엑셀로 총정리하여 블로그를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기부 자료를 보고 있는데 조사 기관마다 차이가 너무 심해서요. 한국의 실제 기부 참여율을 알고싶으면 어떤 자료를 보는 것이 맞을까요?
또한 기빙 코리아와 사회조사 자료가 많이 인용되고 있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와, 표본이 적은 기빙코리아 자료가 인용이 많이 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위 논문을 읽기 전에 댓글을 달았네요. 논문 내용을 요약하자면 여러 이유로 실제적인 기부 참여율과 평균 기부금액을 알 수 없다. 그리고 기빙 코리아의 설문 내용이 구체적이라 인용이 많이 된다. 라고 볼 수 있겠네요!
또한 가지 궁금한 것이 25페이지를 보면
[2001년도 기빙코리아 조사에서는 기부를 자발적으로 필요한 사람이나 기관에 돈, 재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종교 기부와 십일조를 포함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2002년에는 종교적인 의미로 돈이나 자산을 내는 것(헌금, 보시)는 포함하지 않았다.] 라고 나와 있는데 2002년 이후는 종교적인 이유로 자산을 내는 것을 포함 한 것인가요? 제외한 것인가요? 또한 국세청 기부금 총액에서는 헌금이 포함되어있다고 봐야할 까요?
안녕하세요. 2002년 이후 기빙코리아에서는 종교기부(헌금/보시)와 자선적 기부를 분리해서 조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13997/ <부록> 을 참고해 주세요. 국세청 기부 총액에는 종교기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또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의 보고서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잘 확인했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한국의 기부단체 불신의 원인(아무래도 그 동안의 기부단체들의 비윤리적 운영과 기부자들이 기부금 사용내역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문제라고 생각되긴 합니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기부금의 사용내역을 추적해서 기부자들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으로 해결 될 수 있는가 에 대한 사견이 궁금합니다!
이를 불법적으로 사용한다거나,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고 대한민국의 기부지수가 전 세계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가져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능하다면 해결책을 모색해 보고자하는 대학생입니다! 공개된 곳에서 답변이 어렵다면
krhan32@naver.com 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백방으로 여러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데 참고할 만한 기부에 관한 자료는 아름다운 재단에 대부분이라 염치불구하고 이렇게 답글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주신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먼저 비영리기관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기관들은 투명하게 운영하기 위해 연차보고서를 제공하고 오픈하고 있습니다. 연차보고서에는 상세하게 기부금이 사용된 내역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세청에 고지할 의무가 있어 이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저희 재단과 같은 경우, 영역별로 기부금을 받고 있는데요, 영역 내에도 여러 사업이 있기 때문에 기부자가 기부한 금액을 모두 추적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기부금의 사용내역을 각각의 기부자가 기부한 금액 만큼을 추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질문자 분께서 ‘기부금의 사용내역을 추적해서 기부자들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이 되었을까요?
그리고 한국의 기부단체 불신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사회에 대한 불신이 높을수록 비영리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기부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비영리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낮습니다. 말씀하신 일부 소수의 조직의 비윤리적 운영도 원인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겠습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릴 점은, 한국의 기부지수가 전세계 최하위권이라는 결과는 조사기관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 [기빙코리아2018]비영리 모금조직에 대한 일반시민의 신뢰도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14625/)
– [연구] 신뢰, 기부태도 및 기부행위간의 구조적 관계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13364/)
위 보고서들도 한 번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