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생산되는 기부 데이터 현황
국내 기부관련 통계 데이터는 총 9개로 이 중 국세청 국세통계연보는 총 기부금액을 제공하고 있다.
가장 많이 인용되는 기부 참여율과 평균 기부 금액은 기빙코리아, 사회조사에서 보고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국조사로는 재정패널, 한국복지패널이 있다.
기부 참여율과 기부금액 이외의 기부 행동 및 태도에 관한 문항은 사회조사와 기빙코리아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9개의 기부 데이터베이스 |
||||
데이터베이스 |
제공 기관 |
조사시작 |
최근 조사 | |
전국 |
기빙코리아 |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
2001 |
2019 |
사회조사 |
통계청 |
2006 |
2019 |
|
여성가족패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6 |
2019 |
|
한국복지패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7 |
2020 |
|
재정패널 |
조세재정연구원 |
2008 |
2019 |
|
지역 |
서울서베이 |
서울시 스마트시티정책관 |
2005 |
2020 |
서울복지패널* |
서울시복지재단 |
2008 |
2010 |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
서울연구원 |
2015 |
2019 |
|
국세청 |
국세통계연보 |
국세청 |
1967 |
2020 |
Note: * 조사가 종료된 데이터셋. |
<7개 데이터 요약>
각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년도 기준 평균 기부 참여율, 평균 기부 금액, 총 기부금액, 그리고 자원봉사 참여율은 아래와 같다.
기빙코리아 |
한국복지패널 |
재정패널 |
사회조사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
서울서베이 |
국세통계연보 |
|
조사 단위 |
개인 |
가구 |
가구 |
가구 |
가구 |
가구 |
– |
조사지역 |
전국 |
전국 |
전국 |
전국 |
서울시 |
서울시 |
전국 |
표본수 |
2,011 |
4,124 |
4,816 |
18,676 |
3,000 |
20,000 |
– |
기부참여율 |
46.5% |
12.2% |
35.9% |
21.6% |
17.4% |
37.1% |
– |
평균기부금액 |
₩264,000 |
₩461,000 |
₩164,000 |
₩603,000 |
₩904,000 |
– |
– |
총기부금액 |
– |
– |
– |
– |
– |
– |
14.4조원 |
자원봉사참여율 |
32.3% |
13.7% |
– |
16.1% |
10.0% |
13.6% |
– |
<함께 보면 좋은 글>
① 한국의 기부 데이터베이스
② 국내 기부금 총액
③ 평균 기부 참여율과 기부 금액 변화
원문 보고서 보기 [기획연구 2020-3] 한국의 나눔 행동과 태도 측정 : 방법론적 고찰
<참고자료>
- 기빙코리아 2020.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blog/2020/12/21/givigkorea2020/
- 한국복지패널. 한국복지패널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연도별 기초분석보고서. https://www.koweps.re.kr:442/research/report/list.do#LINK
- 여성가족패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가족패널 1-6차 웨이브 조사자료. https://klowf.kwdi.re.kr/portal/report/reportListPage.do?bbsId=ANRPT
- 서울복지패널. 서울복지재단 (2010). 서울시 복지패널 2차 본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https://wish.welfare.seoul.kr/swflmsfront/board/boardr.do?bmno=10015&bno=1711&pno=10007&ppno=&opno=& - 재정패널. 조세재정연구원 (2021) https://www.kipf.re.kr/bbs/panel_report_DataReport.do 기초분석보고서 [표 37] 가계지출 현황 : 연간 지출
- 사회조사. 통계청 (2021)
Kosis 국가통계포털 국내통계 > 주제별통계 > 사회조사 > 사회참여 > 2009년 이후 > 현금기부인구 , 현금기부금액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
기부참여율 : 사회조사 보도자료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 - 서울시복지실태조사. 서울연구원 (2020)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http://data.si.re.kr > 조사데이터 >서울복지실태조사
- 서울서베이. 서울시 스마트 도시 정책 센터. (2020)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http://data.si.re.kr > 조사데이터 >서울서베이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5564/F/1/datasetView.do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기부 경험여부 및 기부형태 통계 https://data.seoul.go.kr/dataList/286/S/2/datasetView.do?tab=S# - 국세청 (2019). 국세통계연보. https://tasis.nts.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cm/index.xml 기부금총액=아래 1)+2)+3)+4)
1)법인기부금 :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8. 법인세>>8-3-6(~2012)/8-3-14(2013~) 접대비,기부금 신고현황
2)개인기부금(종합소득세):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3. (종합)소득세 >>3-2-7. 기부금 신고 현황 >> “기부금합계
3)개인기부금(기부금 세액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기부정치자금”(~2012), “기부금세액공제대상금액” (2013~)
4)개인기부금(기부금 소득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특별공제” > “기부금소득공제액”
악당이기자
국세청(2019) 통계연보. 에서 참고한 자료 각각의 연도가 저게 맞나요? 통계연보 실물과 대조해보고 있는데, 실물 자료에는 2020년 데이터가 있습니다만 왜 위에서 참고한 자료들의 기준 년도가 2012년, 2013년인지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영기획국 연구사업팀ㅣ장윤주 간사
안녕하세요. 3)개인기부금(기부금 세액공제액): 국세청 국세통계 연보 >>4. 원천세 >> 4-2-1.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 “기부정치자금”(~2012), “기부금세액공제대상금액” (2013~) 이 부분 말씀하시는 것이지요? 2012년부터 ‘기부정치자금’이 별도 항목으로 분리 되었습니다. 따라서, 2) 항목에 3)의 기부금정치자금 2012년부터 합산해야 합니다. 그리고 2014년부터 근로자 기부금 공제 방식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변경되었답니다. 따라서 개인근로자의 경우 2013년까지는 소득공제 자료를 봐야하고, 2014년부터는 4)세액공제 자료로 합산해야 합니다. 국세청 자료에서 기부금액 총액을 한번에 볼수는 없고, 기부문화연구소에서 1)~4)의 자료를 엑셀로 총정리하여 블로그를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