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하반기 가장 이슈가 된 영화는 ‘보헤미안 랩소디’인 것 같습니다. 그룹 퀸에 대한 각자의 추억, 프레디 머큐리에 대한 재평가, 싱얼롱 극장 동영상 등 이어지는 관심 속 문화방송은 1985년 라이브에이드 행사의 실황중계를 재방송 하였고, 프레디 머큐리에 대한 다큐멘터리도 방영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잠깐, 라이브에이드는 본 블로그의 ‘기부금이 세상을 어떻게 바꾸었을까?-영국편’의 1900년도 이후의 성취 중 하나로 소개되었던 행사입니다. 우리에게 그룹 퀸과 프레디 머큐리에 대한 추억과 재발견을 준 그 장면이 실은 역사적인 모금행사의 현장 실황이었던 것이지요.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중 라이브에이드 공연장면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중 라이브에이드 공연 장면

나무위키, Wikipedia, 영화의 대사들을 연결해보면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습니다.

  •  1985년 7월 13일에 개최된 대규모 록 페스티벌. 밥 겔도프, 밋지 유르가 에티오피아 난민의 기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함.
  •  영화’보헤미안랩소디’에 실황이 소개된 영국 런던의 웸블덤 스타디움에서 72,000명 관객과,  미국 필라델피아의 존 F. 메네디 스타디움에서도 100,000명 관객과 총 16시간 진행됨. 10대의 위성으로 전세계 150국에 방영되어 약 19억명, 세계인구의 40%가 시청한 것으로 추산됨.
  •  한국에서는 MBC가 ‘세계는 한가족’이라는 프로그램명으로 녹화방송. 3시간 분량으로 편집본. 당시 중계영상에는 ‘보헤미안 랩소디’가 빠져있었는데, 금지곡이었기 때문. 2018년 12월 2일 영화의 흥행에 힘입어 재방영됨.

우리는 모금행사로서의 라이브에이드 관련 사실에 눈길이 갑니다.

  • 영화에서 백만 파운드 모금이 목표라는 언급이 나오는데, 공연 동안 BBC는 300대의 전화 회선을 연결했고, 신용카드 기부도 받음. 
  •  결과적으로 약 1억 5천만 파운드가 모였는데, 이는 현재 기준으로 약 6,400억 원 가치. 1인 기준 가장 큰 기부금은 두바이의 부유한 가문이 100만파운드, 즉 42억 원 기부함.
  •  영화에서처럼 콘서트 시작 후 7시간째까지 실망스러웠던 기부실적이, 퀸 공연으로 크게 오름. BBC가 기부금 수표로 보낼 우편주소를 안내하려고 하자 밥 겐돌프가 “Fuck the address, let’s get the numbers”라고 소리쳤다고 함. 전해지는 바로는 “give us your fucking money”라고 하고, 영화에서도 비슷한 멘트를 함.(물론 본인은 그런 상스러운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함)
라이브에이드 좌로부터 프레디 머큐리, 디레 스트레이츠, 밥 겔도프

라이브에이드 좌로부터 프레디 머큐리, 다이어 스트레이츠, 밥 겔도프

여기까지 위키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이라면 위키에 최근 링크된 ‘Samuel Seong’님의 기부금의 사용관련 코멘트들은 우리가 꼭 읽어야 할 내용인 것 같습니다. (조금 요약)

  1.  Live Aid는 역사상 최고의 자선공연이지만 기아와 난민 지원은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투입되어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망한 인도적 지원사업의 하나임.
  2. 당시 이디오피아의 기근은 해당 지역에서 식용 작물 대신 환금성 작물인 커피를 키우다가 커피 원두값이 폭락하면서 발생했던 것.
  3. 이 참상을 담은 BBC의 다큐멘터리를 밥 겔도프와 밋지 유르가 본 다음은 기획했던 것이 Live Aid. 이게 성공하면서 비슷한 공연들이 이어짐. [BBC다큐멘터리관련기사]
  4. 콘서트에서 번 돈으로 수많은 구호물자를 실은 배들이 떠났는데… 문제는 이디오피아 지부티항등이 처리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함. 하역 대기 시간이 길어지자 운송 회사들은 해당 지역 인근에 구호물자들을 부리고 자신들의 본업을 위해 복귀. 상당수의 물자들이 옆 나라 소말리아에 뿌려짐
  5. 문제는 당시 소말리아는 당시 친소정권인 시아드 바레가 이끄는 군부독재에 저항하는 세력들이 자라던 시점. 친소정권 붕괴를 원하는 이들에게 이 물자들이 들어가면서 종잣돈이 되고 1991년에 시아드 바레 정권은 무너짐.
  6. 국가는 세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총만 넘쳐나니 지역에서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기 시작함. 유엔 평화유지군이 파병되었으나 여의치 않아 철수.
  7. 이후 소말리랜드와 소말리아로 다시 분리되고 소말리랜드의 정정불안은 해소되지만 소말리아 지역은 여전히 분쟁 지속 중.
에티오피아 기근

에티오피아 기근

기부금이 수혜자와 수혜현장에 의도치 않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한 내용은 이미 많은 책으로 소개된 바 있습니다. 기부문화총서 ‘기빙웰-잘 주고 잘 받는 나눔의 윤리’에서도 다루고 있고, 에누마 김현주 팀장님의 특강 ‘좋은 의도는 좋은 결과를 낳는가’에서도 자세히 언급되고 있습니다. 영화의 감동에서 시작된 관심은 기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또 다시 오래된 숙제를 확인하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좀 뜬금없지만 21세기에 만약 사상 최대의 세계적 모금행사가 만들어진다면 그 기획은 K-pop의 성지 한국에서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상상을 해 보며, 이때는 앞선 과오들을 피하는 나눔의 방식을 볼 수 있기 소망합니다.
라이브에이드 기념 책자

라이브에이드 기념 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