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Filters
결과 내 검색
기획연구/이슈페이퍼

지난 20년 동안 기빙코리아는 총 11개의 기부 지표를 통하여 한국의 기부 참여율, 평균 기부금액 등을 발표해왔다. 2022년 현재 한국의 기부금 총액은 기빙코리아의 연구를 통해 개인 기부금액을 추정하거나 국세청 통계연보를 통해 개인기부 및 기업기부금 총액을 추정하고 있다. 기부참여율과 일인당 평균 기부금액은 국가통계인 사회조사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 기빙코리아는 기부에 관한 가장 많은 항목을 보유하고 있어 기부처와 기부처별 기부금액, 사회참여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기빙코리아와 같은 다양한 기부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운데 기부 참여율, 총 기부금액, 인구사회학적 기부 트랜드 분석 등 한국의 기부 트랜드를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 기부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첫째, 기부 개념의 명확화, 둘째, 설문의 과학적·체계적 설계, 마지막으로 조사 방법론에 대한 고려 즉 샘플링과 분석단위, 인터뷰 방법 등 자료 수집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는 국내외 연구의 자료조사를 통해 기부의 정의, 설문 문항의 설계, 방법론 등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고 타당성이 보장되는 한국의 대표성 있는 기부 측정의 기반이 되고자 한다. 

국제연구

세계기부환경지수는 인디애나대학 릴리 패밀리 스쿨 오브 필란트로피(이하 IU)에서 격년으로 기부환경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는 한국 파트너로 참여하여 한국의 기부 환경 부분을 맡아 작성하였습니다. 올해 발간된 2022년 보고서는 91개국이 참여하여 기부단체의 1) 운영 용이성 2) 세제 혜택 3) 국가간 기부 4) 정치 환경 5) 경제 환경 6) 사회 문화 환경 등 6개 섹터의 기부환경 우호성 정도를 보고하였습니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별로 총 1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설문을 작성하고, 이 초기 보고서를 IU에서 내부 검토 합니다. 검토 내용을 국가별로 리뷰한 후 전체 보고서를 국제 자문위원 검토를 통해 점수배정과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 내용을 국가별로 재검토 후 최종 검수를 수행하였습니다.
설문 항목별로 1~5점까지, 각 점수별로 기준이 되는 설명문이 있어 그 정도에 따라 점수를 기재하도록 합니다. 국가별로 주관적인기재가 가능하므로, 검토 과정에서 2018년 대비 등락과 국가별 비교를 고려하여 점수가 조정되는 과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Global Philanthropy Environment Index https://globalindices.iupui.edu/environment-index/index.html
*측정방법 https://globalindices.iupui.edu/environment-index/methodology/index.html